목차
보건복지부는 난임부부 및 임산부의 심리·정서적 지원을 위해 지난 2018년 중앙 난임 우울증 상담센터를 개소하였으며,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올해까지 총 9개의 권역별 난임 우울증 상담센터를 확충하였다.
01
of 03
난임 우울증 상담센터란?
난임 우울증 상담센터는 모자보건법 제11조 등에 근거하여 난임부부에 대한 상담 및 산전·후 우울증등 임산부 심리·정서 전반에 대한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인천광역시는 2019년 전국 지자체 중 두 번째로 난임 우울증 상담센터 (가천대길병원)를 지정·운영하는 등 난임부부 지원을 대폭 확대하여 왔다. 정부는 난임 우울증 상담센터를 난임 임산부 심리상담센터로 개편하고 유산·사산 임산부 지지 등 그 지원 범위의 확대를 추진 중이다.
02
of 03
사업개요
① 목적 : 난임부부 및 산전‧후 우울증을 겪는 임산부 등의 심리·정서적 지원
② 근거 : 「모자보건법」 제10조의5 및 제11조의4
③ 주요업무 : 난임부부 및 임산부 대상 상담업무 (대면·비대면), 자조모임 등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 운영, 지역 유관기관 협력체계 구축 등
④ 대상 : 난임부부, 임신부, 산모 (출산 후 12주 이내), 양육모 (출산 후 3년 이내, 한부모의 경우 7년 이내까지) 및 배우자, 그 외 가족 등
03
of 03
설치·운영 현황
중앙 및 권역 9곳에 상담센터 설치·운영
① 중앙 : 국립중앙의료원 1개소
※ 인력 10명 : (비상근) 산부인과·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 2명, (상근) 상담인력 8명
② 권역 : 인천·대구·전남·경기·경북·서울·경기북부 9개소
※ 인력 5명 : (비상근) 산부인과·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 2명, (상근) 상담인력 3명
수탁기관 | 센터명 | 개소일 |
---|---|---|
중앙 (전국) 국립중앙의료원 | 중앙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 2018.06. |
(전남) 의료법인 내일의료재단현대여성아동병원 | 전남 권역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 2018.12. |
(인천) 의료법인 길의료재단 가천대길병원 | 인천 권역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 2018.12. |
(대구) 경북대학교병원 | 대구 권역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 2018.12. |
(경기) 인구보건복지협회 경기지회 | 경기도 권역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 2020.12. |
(경북) 경상북도안동의료원 | 경상북도 권역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 2021.10. |
(서울) 연세대학교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 서울 권역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 2023.03. |
(경기북부)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 경기북부 권역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 2023.03. |
(서울)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 서울 서남 권역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 2024.07. |
(경북) 경상북도김천의료원 | 경상북도 서부 권역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 202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