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센병 전염 원인 증상 치료 예방 기본정보, 외국인 무료검진 확대
질병관리청은 1월 28일 (일), 세계보건기구 (WHO)가 정한 ‘세계 한센병의 날’을 맞아, 우리나라 한센병 퇴치 수준 유지를 위해 적극적인 한센병 검사 시행을 당부하였다.
국내에서는 2008년 이후 한 자릿수 신환자 발생이 보고되고 있으며, 2023년도에는 총 3명 (내국인 1명, 외국인 2명)의 한센병 신환자가보고 되었다. 최근 수년간 동남아 지역 등으로부터 유입된 외국인 신환자 비중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은 외국인 한센병 신환자의조기발견·조기치료를 위해, 금년 2분기부터 외국인 대상 한센병 무료검진 횟수를 확대할 계획이다.
01 of 07한센병 기본정보
① 정의 : 나균 (Mycobacterium leprae)에 의해 발병되는 만성 감염병이며 피부와 말초신경에 주 병변을 일으키는 면역학적 질환
② 분류 : 제2급감염병
③ 병원체 : 나균 (Mycobacterium leprae)
④ 병원소 (감염원) : 사람
⑤ 전파경로 :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며, 피부와 상기도가 주된 침입 경로로 알려져 있음
⑥ 잠복기 : 보통 2 ~ 5년 발생, 일부 몇 주 또는 20 ~ 30년 발생
⑦ 진단 : 특징적 임상 증상 확인, 분자생물학적 검사법에 의한 나균 확인, 조직 검사상 한센병 육아종 소견 확인, 병변의 도말 검사 (항산성 염색)에서 항산균 확인
⑧ 환자 및 접촉자 관리 : 신환자 진단 시 한센병 전문진료기관으로 치료연계 및 접촉자 관리 (마지막 접촉 시점으로부터 최소 5년간 매년 검진 권장)
02 of 07한센병 전염
우리나라 법정감염병에서 제2급감염병으로 분류.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면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키지 않으며, 성적인 접촉이나 임신을 통해서도 감염되지 않음.
03 of 07한센병 원인
한센병의 원인균인 나균의 정확한 감염 경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음. 나균은 대부분 비강을 통해 배출되며 치료 받지 않은 환자와 장기간 긴밀한 접촉을 할 경우 전파. 호흡기를 통해 혹은 상처가 있는 피부를 통해 나균이 침투하는 것으로 추측
04 of 07한센병 증상
피부, 말초신경, 비강점막의 만성 세균성 감염, 균이 주로 말초신경과 피부에 병변을 일으키고 뼈, 근육, 안구, 고환 등을 침범
한센병은 다양한 잠복 기간을 가지고 있고 피부에 나타나는 병적인 변화의 종류에 따라 크게 나종 나균과 결핵 나균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
나종 나균의 잠복기는 결핵 나균 잠복기의 두 배 정도. 나병균이 코 점막에 침범하면 딱지가 생기며 코막힘, 출혈 등이 발생하고, 피부에 침범하면 전신에 양쪽 대칭적으로 발진이 넓게 나타남. 눈에 침범하면 홍채염이나 각막염이 발생.
결핵 나균의 경우에는 한 개 이상의 경계가 뚜렷한 피부염이 신체에 비대칭적으로 퍼져 나타남. 증상이 나타난 피부 부위는 무감각 또는 과다 감각 상태가 됨. 특히 말초신경으로의 나균 침범이 심한 특징을 보임.
05 of 07한센병 치료
표준복합화학 요법 (dapsone, rifampicin, clofazimine)
06 of 07한센병 예방
예방 백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으나 결핵예방 백신인 BCG가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음
07 of 07외국인 대상 한센병 무료검진 계획
1. 배경
국내 체류 외국인이 지속 증가하고, 한센병 신환자가 외국인 중심으로 지속 발견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 및 관리 필요
※ 2014 ~ 2023년 국내 한센병 신환자 38명 중 내국인 21명 (55.3%), 외국인 17명 (44.7%)
2. 내용 및 이행계획
① 외국인 대상 한센병 무료검진 전담팀 구성
※ 총 9명 : 의사 1명, 간호사 3명, 임상병리사 1명, 방사선사 1명, 물리치료사 1명, 행정요원 2명
※ 한국한센복지협회 연구원 인력 활용
② 대상기관 선정
- 한센병 우선순위 국가 출신 외국인 국내 지역별 현황 분석
- 지역별 외국인 지원센터와 한센병 무료검진 계획 협의·선정
③ 사업운영 : 전국 외국인 단체 (종교단체, 지원센터 등) 및 권역별 외국인 무료 진료소와 연계하여 한센병 무료 검진 실시
※ 검사항목 : 피부과 진료, 한센병 증상여부, 기초검사(체온, 혈압 등), 혈액, 심장질환, 골밀도 등
3. 기대효과
국내 체류 외국인에 대한 한센병 조기발견 및 내국인에 대한 전파예방